바로넘어가기 메뉴

  • 국가상징
  •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의정부TV

의정부시 문화관광

즐겨찾는 메뉴 메뉴 열기

의정부시 인기검색어 입니다.

역사/전통

  • 역사/전통
  • 지명유래집
  • 장암동

장암동

장암동(長岩洞)

장암동 지도

장암동은 원래 둔야면(芚 夜 面부)의 장자리(長者里)와 조암리(鳥巖里) 일부, 그리고 동막리(東幕里)를 합쳐 장자리와 한자씩 따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때 시둔면 장암리(長巖里)로 개칭되었다.

64년 5월 8일「의정부시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를 개정 공포(조례 제19호)하여 동년(同年) 6월 1일 동제(洞制)가 실시됨에 따라 장암동이 되었다.

장암동은 신곡동과 함께 행정동인 장곡동에 속해 있어 동사무소를 30년간이나 갖지 못하다가 1994년 7월 1일에 인구 증가로 분동(分洞)되어 장암동사무소를 갖게 되었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장암동 지명 유래 안내입니다.
옥수당개울(玉水堂川) 옥수당개울은 서울시와 의정부시의 경계를 이루는 개울로 수락산으로부터 맑은 물이 흘러 내려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지말 양지말은 서계 박세당 학당(西溪 朴世堂 學堂)터가 있는 곳을 양지쪽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진등 진등은 양지말 앞의 능선으로 바닥이 진흙으로 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벌말 벌말은 진등의 아래쪽에 있으며, 산을 등지지 않고 사방이 논들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곳에는 삼형제소, 운구너머, 장안보 등이 있다. 운구너머는 벌말을 넘어가는 얕은 등성이의 산이며, 장안보는 벌말 앞 논에 물을 대는 보(洑)이다.
응달말 응달말은 응달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서계 박세당 학당
(西溪 朴世堂 學堂) 터
서계 박세당은 인조 7년(1629)에 남원부사 박정과 양주 윤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숙종때의 실학파 학자로서 예조좌랑, 병조좌랑, 춘추관 기사관을 거쳐 홍문관교리 등을 지내다가 40세에 관직에서 물러나 장암동 석천동(石泉洞)으로 돌아와 궤산정을 짓고 제자들을 가르치기도 하고 손수 농사를 지으며『색경(穡經)』이라는 농사에 관한 책을 저술하였으며 고전연구에도 심혈을 기울여『사변록(思辨綠)』을 저술하였다. 궤산정을 중심으로 뒤편에는 서계의 생가가 있고 주위에는 그가 심었다고 전해오는 은행나무와 느티나무들이 지금도 무성함을 자랑하고 있다. 서계 박세당 학당터는 궤산정 북쪽에 위치한다. 이 곳에는 서계 영당이 있고 영당 앞에 『색경』에 나오는 기록처럼 서계 박세당이 심었다는 대나무가 있다. 이 곳 계곡을 석천동계곡이라고 하는데 서계 선생이 아름다운 경치에 매료되어 붙인 이름이다.
장재울(長者洞) 장재울은 수락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조선 숙종(肅宗)때 서계 박세당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이 곳에서 제자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그 인품이 관후(寬厚)할 뿐만 아니라 직간보국(直諫輔國)하여 그를 존경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는데, 관후장자(寬厚長者)한 분이 사는 곳이라 하여 장자동이 되었다. 지금은 변음되어 장재울이라고 부른다.
석림사계곡
(石林寺溪谷)
석림사계곡은 석림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석림사의 최초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전하는 말에 의하면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자주 머물던 수락사지(水落寺址)에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이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창건했다고 하니 서계의 생존연대(1629∼1703년)로 보면 석림사의 초창은 지금으로부터 300여년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곳에는 큰골, 긴골, 험한골, 열두개울등이 있다.
청풍정(淸風亭) 터 청풍정은 노강서원(鷺江書院) 앞에 있는 정자로 현재는 주춧돌만 남아 있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하다가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했다는 소식을 듣고 책을 불사르고 사육신의 시신을 거둔 후에 처음에는 청풍정에 숨었다가 폭천정사(瀑泉精舍)로 옮겨 은둔하였다고 한다.
청풍정은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선생이 매월당 김시습을 추모하기 위해 영당(影堂)을 짓고 그 앞에 세운 정자로 제자들과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다. 주추의 크기는 높이 90㎝, 아래 폭 60㎝, 위 폭 38㎝ 정도이며 모두 네 개로 되어 있는데 주추간의 거리는 가로 2.2m, 세로 2.4m인 것으로 보아 정자의 평면적은 1.6평 정도로 추측된다. 정자 아래쪽 계곡 암면에는 수락동천(水落洞川)이라는 매월당의 친필이 남아 있다. 이 글씨는 매월당이 전국을 유랑 할 즈음 이 곳 수락산에 머물고 있을 때 남겨 놓은 친필이라고 전해진다.
선유곡(仙遊谷) 선유곡은 석림사 위에 계곡으로 옛날에 선녀가 와서 놀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곳에는 험막골, 중소난골(中小難谷), 열두바퀴 계곡이 있는데 험막골은 올라가기 힘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중소난골은 선녀탕 밑 오른쪽 골짜기인데 이곳 역시 험하다고 한다. 열두바퀴 계곡은 수락산에 골짜기가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큰골 또는 긴골 등으로도 불린다.
기차바위(東峰) 기차바위는 기차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는 동봉이라고 하였다. 남양주시 청학리에서는 이 바위가 향로같이 생겼다고 하여 향로바위(향로봉)이라 부른다. 이 곳에 관한 서계 박세당의 시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東峰(동봉) 東峰己無舊精舍 / 道人風流誰繼者 / 西溪老翁住溪畔 / 獨愛東峰行坐看 / 道人道超隨夷前 凡僧俗士不好事 / 道人遺蹟今莫記 / 寂寞空岩今久倚 / 東峰月照西溪水
동쪽 봉우리에는 이미 옛정사가 없어졌지만 / 도인의 풍류를 누가 아니 이어 받을꼬 서계 노옹은 시냇가에 머물며 / 홀로 사랑하는 동쪽 봉우리로 나가 앉아 보노라니 동쪽 봉우리 높이 걸린 은하수 곁에는 / 도인의 뛰어난 도가 평평한 곳을 따라 앞서는 구나 무릇 승려나 세속의 선비들이 좋아하지 않는 일이나 / 도인의 남은 자취 이제 기록이 없고 적막하고 쓸쓸한 바위에 기대 오랫동안 그 아름다움을 읊는데 / 동쪽 봉우리에 뜬 달 서쪽 시냇물을 비추는구나
동봉서원
(東峰書院) 터
동봉서원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을 모셨던 청절사(淸節祠)를 말한다. 사액은 청절사에 내려졌으나 이 곳의 유림들은 동봉서원이라고 불렀다. 이 동봉서원의 전신은 폭천정사(瀑泉精舍)인데 폭천정사는 매월당 김시습이 10여년간 은거하던 곳으로 김시습이 서거정(徐居正)과 시를 나눴다고 전해진다. 남양주시 청학리 사람들은 이 곳을 매월당 서당터라고 부른다.
오리봉(鴨峰) 오리봉은 기차바위 동북쪽에 있는 봉우리로, 산 오리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쌍암사(雙岩寺) 쌍암사는 장암동 192번지로 수락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초의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며, 경내 계곡에 두 개의 큰 바위가 우뚝 솟아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쌍암사중건기(雙岩寺重建記)에 의하면 고종 17년(1880)에 화주(化主) 불운(佛雲)과 유원니(有願尼)가 중건하였다. 그후 6.25사변으로 인하여 완전히 소실된 것을 1956년 구순복니(具順福尼)가 법당과 요사를 중건하였다.
매봉재(鷹峰(응봉)) 매봉재는 박세당 묘 위쪽에 있는 봉우리로 조선시대에 매를 날리던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기와집터 『매월당문집(梅月堂文集)』을 보면 매월당이 서거정과 시를 나눈 것으로 봐서 이 곳이 서거정이 살던 집터로 추정되나 확인할 길은 없다.
정자마을(윗말) 정자마을은 예전에 정자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을 윗말(上村)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서계 박세당이 자신을 낮춰 자신이 사는 곳을 아랫말(下村)로 부르고 서거정이 사는 곳은 윗말로 부른데서 연유한 것이라고 한다. 그 가운데의 마을은 가운뎃말로 불렀다고 한다. 또한 이 정자마을 안에는 샘내기라는 수질이 좋은 우물이 있으며, 수삼매기라는 빨래터가 있다.
치마바위 치마바위는 오리봉 서쪽 밑에 있는 바위로 생김새가 주름을 잡은 치마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밤나무골 밤나무골은 아름드리 밤나무가 무성히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해방후 밤나무를 베고 배나무를 심어 배밭이 되었다고 하며, 현재는 장암역과 7호선 기지창이 들어서 있다.
봉화재 봉화재는 장암역 옆산인 안산의 맨 위 봉우리로, 봉화를 올리던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봉화재 앞에는 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하는 안고래라는 논이 있다.
산보골 산보골은 산보할 수 있는 오솔길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원산에서 누원을 거쳐 서울로 가는 상인들이 다니던 길이었으며, 이 곳에 주막이 있었다고 한다.
영(營)재 영재는 병문안·이성재·삼성재·둔뱀이의 지명유래와 관련이 있는 곳으로 예전에 이 곳에 병영(兵營)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이고개를 아리랑고개라고도 하는데, 아리랑고개는 6.25사변 당시 군부대에서 나오는 휘발유를 자전거에 싣고 힘들게 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구바위 구바위는 본래 밑으로 구바위소(沼)가 있어서 구바위의 9층 계단을 통해서 구바위소로 내려갈 수 있었다고 한다. 이를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강제로 물의 흐름을 바꿔 놓으면서 연못은 없어지고 구바위는 지상으로 2층만이 남게 되었다. 이 구바위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맹장군이라는 사람이 이곳에서 여막을 운영하면서 여기에 묵는 상인들을 닭이 울기전에 연못에 밀어 넣어 죽이고는 돈과 물건을 가로채며 살았는데, 이를 며느리가 알고 관가에 고발했다고 한다. 그 며느리가 부르던 노래도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길주 명창 가는 베장사야 / 닭이 운다고 떠나지 마라 / 정닭의 울음이 아니고 / 맹장군의 인닭의 울음이다."
여근곡(女根谷) 약수 여근곡 약수는 이 곳에 있는 바위의 모양이 여근(女根)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바위에서 소량의 샘이 나오는데 그 물이 유명하다고 한다.
동막골(東幕谷) 동막골은 수락산 아래 대우아파트 신축부지가 있는 마을로서 장수원의 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포천방면에서는 옛날에 주로 이 길을 이용하여 서울로 드나들었다고 하는데 당시 이 곳에 주막이 있었기 때문에 길손들이 동쪽에 있는 막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일설에는 동쪽이 막혀서 동막골이라 불렸다고도 한다.
절터골 절터골은 동막골에서 상봉(上峰)으로 올라가는 골짜기로 절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곳에는 이끼가 껴서 검게 보이는 재바위와 6.25사변때 폭격으로 이내 움푹 패인 움푹바위, 구멍이 뚫린 구멍바위가 있다.
진등 진등은 바닥이 진흙으로 이루어져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는 주공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다.
개쟁이개울 개쟁이개울은 장암동과 신곡동의 경계를 이루는 개울로, 개쟁이라는 샘물이 있었던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는 매몰되어 없어졌다.
느름내개울 느름내개울은 두험소에서 구바위까지의 물의 흐름이 완만하여 물이 느리게 흐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배내미고개 배내미고개는 상봉과 항미봉 사이에 있는 고개로 동막골에서 만가대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만가대로 내려가는 골짜기가 배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 문화예술과 문화종무팀
  • 031-828-4334
닫기